주: 1) 격차지수 = 일반국민 정보화수준(100으로 가정) - 일반국민(100) 대비 취약계층 정보화수준 2) 대비수준은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을 100으로 할 때, 일반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수준을 의미 3) 평균은 취약계층별 규모 비율을 계층별 지수에 가중치로 적용하여 산출한 가중 평균 4) 저소득층은 기초생활수급층, 장노년층은 50대 이상 연령층 기준 5) 컴퓨터/인터넷 등 정보통신 인프라 접근 수준의 격차 측정 - 정보통신기기 보유정도, PC 기종, 인터넷 접속속도, 필요시 컴퓨터/인터넷 접근 가능정도